인사말

오늘날 세계의 교육은 큰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AI를 비롯한 디지털 신기술은 전통적인 학교 교육의 관행과 방식으로부터의 혁명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코로나 팬데믹과 기후위기 등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인류 공통의 재해재난 및 불확실성의 미래사회를 살아가야 할 학생들에게 세계시민 의식과 미래역량의 증진을 위한 교육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더해, 우리나라의 학령인구는 역사상 경험해 보지 못한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저출생과 고령화 현상으로 급속히 감소하고, 동시에 그만큼 미래의 학생들은 더욱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과 지적 지구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것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다행히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주목할 만한 교육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대구광역시교육청, 제주자치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을 비롯한 다수의 지역 교육청에서는 우리 교육에서 부족한 교육과 학습을 위해 IB교육을 우리의 교육 환경에 접목하는 혁신 운동이 할발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일종의 풀뿌리 교육 운동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선다형, 상대평가 중심의 수능 시험과 엄격한 표면적 객관성을 강조하는 내신평가의 현실 속에서도, IB 교육을 통해 학습의 본질을 회복하려는 교육청 및 단위 학교 수준에서의 광범위한 관심과 노력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에, 이러한 IB교육의 특징과 효과성, 우리교육에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 등에 대한 이론적이고 또 실천적인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크게 형성되고 있습니다. “한국국제바칼로레아(IB)교육학회”의 창립은 이러한 사회적 필요에 부응하는 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모쪼록 한국국제바칼로레아(IB)교육학회가 IB 교육은 물론 우리나라의 교육 혁신에 의미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한국국제바칼로레아(IB)교육학회장 송진웅